2025 1월 4주차 육아 소식
정책
정부, 설 연휴 고위험 산모·신생아 환자 대응 강화
📌 정부가 오는 22일부터 2월 5일까지 2주간을 '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'으로 지정하고, 응급의료 유지 대책을 적극 추진해요.
✔️ 설 연휴 기간 동안 중앙응급의료상황실 내 산과·신생아 전담팀을 구성해 신속한 이송·전원을 지원하고, 별도의 병상 종합상황판을 구축할 예정이에요.
✔️ 또한, 산과응급질환 대상 순환당직제를 확대·운영하고, 시도별 고위험 산모 신생아 대응 핫라인을 구축해요.
✔️ 다태아 수용을 위한 신생아 중환자실 예비병상 확보 및 의료진 당직 확대 시 인센티브 지급 등으로 인프라 확충도 유도해요.
✔️ 특히 야간 및 휴일 소아 진료를 위해 달빛어린이병원 103개소와 아동병원 114개소가 최대한 많이 야간·휴일에 운영하도록 지자체, 소아청소년병원협회 등과 협조해 독려해요.
정책
서울시, 서울형 키즈카페머니 20억 원 발행
📌 올해 발행 예정인 35억 원 중 1차 판매분으로 21일 오전 10시부터 서울페이+앱에서 구매할 수 있어요.
✔️ 상품권은 액면가에서 20% 할인받아 구매할 수 있으며 '서울형 인증'을 받은 민간 키즈카페 54개소에서 이용할 수 있어요.
✔️ 서울형 키즈카페머니 사용처에서 결제한 금액의 10%를 상품권으로 다시 돌려주는 페이백 이벤트도 진행되며, 해당 이벤트는 21일부터 예산 소진 때까지 이어져요.
✔️ 서울형 키즈카페머니는 1인당 월 2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고 보유 한도는 1인당 50만 원이에요.
✔️ 구매일로부터 2년 이내에 사용할 수 있으며, 상품권 이용이 가능한 민간 키즈카페는 서울시 도시생활지도인 '스마트서울맵'에서 확인 가능해요.
사회
육아휴직, 10명 중 3명만 아빠
📌 육아휴직을 내고 급여를 받는 직장인 10명 중 남성은 3명에 불과해요.
✔️ 2024 여성경제활동백서에 따르면, 2023년 육아휴직 급여 수급자는 12만 6,008명으로 남성은 3만 5,336명(28.8%)이었어요.
✔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수급자도 여성이 2만 773명일 때 남성은 2,415명으로 단 10.4%에 불과했어요.
✔️ 반면,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은 남성(17.1%)이 여성(13.9%)보다 높았는데, 이는 육아휴직이나 근로시간 단축 제도 사용 시 소득 대체율이 낮아져 경제적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에요.
✔️ 한편, 2023년 경력단절 여성 규모는 134만 9,000명으로 전년 대비 4만 8,000명이 감소했으며, 2014년 대비 81만 5,000명 감소했어요.
✔️ 주요 사유로는 2023년 육아가 56만 7,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결혼 35만 3,000명, 임신·출산 31만 명 순으로 많았어요.
✔️ '2024 여성경제활동백서'는 여성가족부 혹은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, 이번 백서에는 여성경제활동, 일·생활 균형, 고용환경 관련 최신 통계뿐만 아니라, 특히 국가전략기술분야의 여성인력현황과 여성의 근로여건 현황도 확인할 수 있어요.